경제용어 5

Single-Net, Double-Net, Triple-Net, 리츠(Reits)의 임대차계약

리츠 주식을 공부하면 반드시 만나는 용어가 있습니다. Triple-Net입니다. 기업들은 자신들이 Triple-Net 계약을 맺고 있음을 어필합니다. 우리나라와는 다른 미국의 임대차계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임대차계약 비용 우리나라에서 임대차계약을 맺으면, 임차인(세입자)은 임대인에게 월세만 지급합니다. 하지만 미국의 계약은 우리나라와 반대입니다. 우선 부동산 임대계약 비용을 알아야 합니다. 가. 임대료(Rent) 나. 재산세(Property Tax) 다. 보험료(Insurance) 라. 수선유지비(Maintenance) 위와같이, 네가지 비용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임차인은 월세(임대료)를 지불하고 임대인이 재산세, 보험, 수선유지비를 지불합니다. 2. 미국의 임대차계약 미국의 임대차계약은..

경제용어사전 2023.05.11

EBITDA vs EBITDAR vs EBITDARM? 도대체 뭘까

기업분석을 하다보면 EBITDA라는 용어를 자주 봅니다. 심지어 EBITDAR, EBITDARM까지 만나기도 합니다. 도대체 이것들은 무엇일까요? EBITDA "Earnings Before Interst, Taxs, Deprication & Amorization" 해석하면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를 제외한 수입을 의미합니다. 다음 예시를 통해 이해해 보겠습니다. - A회사의 1분기 실적이 있습니다. 수익 : 1000만원 운영비 : 500만원(감가상각비 : 100만원 / 구조조정비 : 100만원 / 관리비 : 100만원 등) 이자비용 : 50만원 / 세금 : 50만원 순이익(Earning) = 수익 - 운영비 - 이자 - 세금 = 1000만원 - 500만원 - 50만원 - 50만원 = 400만원 이 상황에..

경제용어사전 2023.05.07

FFO(Funds From Operation)란? - [리츠(REITs) 투자하기!]

리츠(REITs)는 부동산 투자신탁회사를 말합니다. 부동산 임대료로 수익을 올리기 때문에 일반 기업들과 다른 점이 많습니다. 그 중 가장 큰 차이는 이것입니다. FFO = Funds From Operation 영업현금흐름이라고 합니다. 1. 왜 굳이 사용하는가? (Why?) 보통 기업의 실적보고서에는 수익이 중요합니다. 어닝 서프라이즈, 쇼크가 자주 쓰입니다. 주식가치 평가시 PER(Price Earning Ratio)을 사용합니다. 같은 지표를 리츠투자에 적용하면 곤란합니다. 당기순이익은 자산의 감가상각비를 차감했기 때문입니다. 모든 자산은 감가상각비용을 회계처리합니다. * 감가상각비 :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자산가치 그러나 부동산의 자산가치는 시간에 따라 하락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가치가 증가하기도 ..

경제용어사전 2023.05.02

Impairment Charge란? [리츠(Reits)주식 투자하기]

리츠 주식에 투자하다가 이상한 용어를 만났습니다. 헬스케어(병원) 리츠주식인 MPW의 1분기 실적보고서입니다. 노란형광펜 부분 Real estate impairment charge가 있습니다. $89M나 비용으로 처리된 이것이 궁금해서 알아보았습니다. 1. Impairment charge란? 이 용어는 손상비용으로 번역됩니다. 우선 Impairment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자산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한 하락이 아닌, 시장에서 거래되는 자산가격(Market Value)이 대차대조표상 자산가격(Book Value)보다 작아지는 경우입니다. - Market Value < Book Value 손상된(하락한) 자산가치는 비용으로 처리합니다. 이때, Impairment Charge가 등장합니다..

경제용어사전 2023.05.02

GAAP VS Non-GAAP

기업 분기보고서를 읽다 보면 GAAP/ Non-GAAP라는 단어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도대체 GAAP라는 단어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1. GAAP : Generally Accepted Accouting Principles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을 의미합니다. 기업은 분기별로 경영성과를 보고 합니다. 그런데 공통된 원칙이 없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투자자들은 보고서를 비교하고 신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재무제표 작성 시 원칙이 필요합니다. 그 원칙이 바로 GAAP입니다. * 미국 재무회계기준회(FASB)에서 정함 그러면 Non-GAAP는 무엇일까요? 2. Non-GAAP : Non-Generally Accepted Accouting Principles GAAP가 아니라는 뜻인데 무엇이 ..

경제용어사전 2023.05.01